축농증(부비동염), 원인부터 증상·치료까지 한눈에 정리
- 카테고리 없음
- 2025. 4. 29. 09:24
축농증(부비동염), 원인부터 증상·치료까지 한눈에 정리 알려드릴게요.
축농증은 일상에서 흔히 쓰는 표현으로, 의학적 용어로는 ‘부비동염’이라고 합니다. 이는 얼굴 뼈 안쪽에 있는 부비동(공기 주머니)에 염증이나 고름이 차는 상태를 말합니다. 축농증은 단순한 콧물, 코막힘을 넘어 두통, 후각 장애, 기침까지 유발하며, 방치하면 만성화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 이 글에서는 축농증(부비동염)의 원인, 주요 증상, 진단, 치료 방법, 그리고 예방법까지 자세히 안내드립니다.
✅ 축농증(부비동염) 정의
- 부비동: 코 주위 얼굴 뼈 안에 있는 빈 공간 (상악동, 전두동, 사골동, 접형동)
- 축농증: 이 부비동 안에 염증이 생기고, 고름이나 분비물이 고이는 상태
- 급성 부비동염: 증상이 4주 이내에 호전
- 만성 부비동염: 12주 이상 지속되거나 재발
▶ 감기 후 세균 감염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✅ 축농증 주요 원인
원인 설명
감기 | 바이러스 감염 후 부비동 입구가 막히며 세균 감염 유발 |
알레르기 비염 | 코 점막 부종으로 부비동 환기 장애 |
비중격 만곡 | 코 안 뼈가 휘어져 공기 흐름 방해 |
코 폴립(용종) | 코 안에 혹이 생겨 분비물 배출 방해 |
치아 감염 | 상악 부비동(위턱)에 인접한 치아 감염 전이 |
외상, 이물질 | 코 부상, 물리적 폐쇄로 인한 염증 |
면역력 저하 | 당뇨, 흡연, 영양 불균형 등이 영향 |
▶ 특히 감기 후 콧물이나 코막힘이 오래 지속되면 축농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
✅ 축농증 대표 증상
증상 구분 세부 내용
코 관련 | 코막힘, 누런 콧물(농성 콧물), 코막힘 심화 |
두통 | 얼굴 무거움, 이마·볼 통증, 고개 숙일 때 악화 |
후각 장애 | 냄새를 잘 못 맡거나 후각 감소 |
기침 | 특히 밤에 심해지는 기침 (후비루로 인한) |
구취 | 코 안 고름으로 입 냄새 동반 |
미열 | 세균 감염 시 37.5도 이상의 발열 가능 |
눈 주위 통증 | 상악동, 사골동 염증 시 눈 주변 압박감 |
▶ 고개를 숙일 때 이마나 광대뼈 쪽이 욱신거리면 축농증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✅ 축농증 진단 방법
- 병력 청취 및 코 안 진찰 (이비인후과 내시경)
- 부비동 X선 촬영
- 부비동 CT 촬영: 염증 범위, 농양, 구조적 이상 확인
- 경우에 따라 세균 배양 검사 진행
▶ 단순 감기와 구분이 어려울 때는 정밀 검사로 정확히 진단합니다.
✅ 축농증 치료법
1. 급성 축농증
- 항생제 치료 (대부분 10~14일 복용)
- 생리식염수로 코 세척 (비강 세정)
- 점액 용해제, 해열진통제 병용
- 비강 분무형 스테로이드 사용 (코 점막 염증 완화)
2. 만성 축농증
- 장기 항생제 복용 (3~4주)
- 스테로이드 비강 스프레이 지속 사용
- 알레르기 치료 병행
- 필요 시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(FESS) 시행: 부비동 환기 개선
▶ 약물로 조절되지 않거나, 폴립이 동반된 경우 수술을 고려합니다.
✅ 축농증 예방 방법
- ✔️ 감기 걸렸을 때 충분히 쉬고 초기에 코 관리
- ✔️ 알레르기 비염 적극적으로 치료
- ✔️ 실내 습도 50~60% 유지 (가습기 활용)
- ✔️ 하루 1~2회 생리식염수 코 세척 습관
- ✔️ 금연 및 공기오염 노출 최소화
- ✔️ 손 씻기와 개인 위생 철저 관리
▶ 특히 코막힘이나 콧물이 심할 때는 방치하지 말고, 조기에 관리해 부비동염으로의 진행을 막는 것이 핵심입니다.
✅ 축농증 관련 주의사항
상황 설명
고열, 심한 두통 동반 | 부비동 내 농양 가능성, 응급 조치 필요 |
눈 주위 붓기·시야 흐림 | 안와합병증 의심, 즉시 병원 방문 |
어린이 축농증 | 집중력 저하, 성장 발달 문제 유발 가능 |
결론
축농증은 단순한 코막힘이 아니라 심한 경우 안구 감염, 두개내 합병증까지 일으킬 수 있는 질환입니다. 특히 감기 후 코막힘, 누런 콧물, 얼굴 통증이 10일 이상 지속되면 조기에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아야 하며,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정기적인 코 세척과 알레르기 관리를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. 축농증은 꾸준한 관리와 생활 습관 개선으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.